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1월 28일 오후 10시 26분경,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홍콩으로 향할 예정이던 에어부산 BX391편(Airbus A321-200, 등록번호 HL7763) 항공기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탑승 중이던 176명(승객 169명, 승무원 7명) 전원이 비상탈출을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4명이 경미한 부상을 입었습니다.

     

    김해국제공항 사고 경위

     

    항공기는 이륙 준비 중 꼬리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불은 동체로 확산되었습니다. 소방당국은 즉시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진화 작업에 나섰으며, 화재는 약 30분 만에 완전히 진압되었습니다. 항공기의 기체는 상당 부분 소실되었으나, 양측 날개와 엔진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김해국제공항 사고 원인

     

    현재까지 정확한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전문가들은 전기 계통 문제, 배터리 과열, 연료 누출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밀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사고 원인 파악에 나섰으며, 조사관들은 사고 현장에서 기체를 정밀 검사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는 관계 당국의 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확인될 예정입니다.

     

     

    김해국제공항 여객기 사고 기종

     

    김해공항에서 사고가 발생한 에어부산 BX391편 여객기의 기종은 에어버스 A321-200입니다. 이 항공기는 에어버스(Airbus)사가 개발한 A320 패밀리 중 하나로, 중단거리 및 장거리 노선 운항이 가능한 협동체(Narrow-body) 항공기입니다.

     

     

    A321-200 기종 개요

     

    제조사: 에어버스(Airbus)

     

    항공기 종류: 중형 협동체(Narrow-body) 여객기

     

    최초 비행: 1993년

     

    승객 좌석 수: 약 185~236석 (항공사 좌석 배치에 따라 다름) 최대 항속 거리: 약 5,950km

     

    최대 이륙 중량 (MTOW): 약 93,500kg

     

    최대 순항 속도: 약 839km/h (마하 0.78)

     

    엔진 종류:

    CFM International CFM56-5B 또는

    International Aero Engines (IAE) V2500 시리즈 연료 탑재량: 약 23,700L

     

    특징:

    A320보다 동체 길이가 더 길어 좌석을 많이 배치할 수 있음 연료 효율성이 높고, 최신 기종(A321neo)은 장거리 운항도 가능 자동 조종 시스템과 최신 항전장비(Fly-by-wire) 적용

     

     

     

    A321-200의 특징

     

    A321은 A320의 기본 설계를 바탕으로 동체를 연장한 모델이며, 좌석 수가 많아 수익성이 높은 중단거리 노선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2개의 출입문(앞뒤)과 추가 비상구가 장착되어 있어 비상 탈출 시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

     

    Fly-by-Wire 전자식 비행제어 시스템이 적용되어 조종사가 기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음.

     

    A321 기종과 안전성

     

    A320 패밀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운항되는 협동체 여객기 중 하나이며, A321-200 또한 높은 신뢰성을 가진 기종입니다.

    다만, 노후 기체의 경우 배선, 연료 계통 등에서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음.

     

    사고가 발생한 BX391편 기체(A321-200, HL7763)는 2009년 도입되어 약 15년 이상 운항된 기체입니다.

     

    이번 사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배터리 과열, 전기 계통 문제, 연료 계통 이상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추가 정보는 국토교통부 및 항공 사고 조사기관의 발표를 통해 확인될 예정입니다.